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발목관절 증상 치료 방법 알아보기

by 센드비백 2025. 4. 19.

우리는 매일 걷고 뛰고 서는 활동을 하며 발목관절을 사용합니다. 이 관절은 작지만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, 체중을 지탱하고 방향 전환, 충격 흡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.

 

발목관절의 해부학적 구조

 

 

구성 뼈

발목관절은 세 개의 뼈로 구성됩니다.

 

  • 경골(Tibia): 정강이뼈, 체중을 지탱하는 주된 뼈입니다.
  • 비골(Fibula): 종아리 바깥쪽에 위치하며, 발목의 안정성에 기여합니다.
  • 거골(Talus): 경골과 비골 사이에 위치한 뼈로, 발과 다리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 

이 세 뼈는 거퇴관절(Talocrural joint)을 이루며, 이 관절이 발을 위아래로 움직이게 합니다.

 

주요 관절

  • 거퇴관절(Talocrural joint): 발목을 들고 내리는 운동(족배굴곡, 족저굴곡)을 담당합니다.
  • 하거관절(Subtalar joint): 발을 좌우로 비트는 운동(내번, 외번)에 관여합니다.

 

인대

발목관절은 다양한 인대가 지지하고 있어 안정성을 유지합니다.

 

외측 인대 (Lateral ligaments)

전거비인대 (ATFL): 가장 흔히 손상되는 인대

종비인대 (CFL)

후거비인대 (PTFL)

 

내측 인대 (Deltoid ligament)

매우 강한 삼각형 모양의 인대로, 발목 안쪽을 지지합니다.

 

경비인대(Interosseous ligament): 경골과 비골 사이를 고정합니다.

 

건(힘줄)과 근육

  • 아킬레스건(Achilles tendon): 종아리 근육과 발꿈치를 연결하며 발을 뒤로 차는 운동을 담당합니다.
  • 전경골근, 장비골근, 장무지신전근 등: 발목과 발가락의 움직임을 조절합니다.

 

발목관절의 기능

  • 체중 지탱: 전신 체중을 지면에 고르게 전달합니다.
  • 충격 흡수: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분산시켜 관절과 척추를 보호합니다.
  • 운동성 제공: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보행, 달리기, 점프가 가능합니다.
  • 균형 유지: 지면 상태에 따라 적응하며 자세를 조절합니다.

 

발목관절의 흔한 질환 및 손상

 

 

발목염좌(인대 손상)

  • 원인: 넘어지거나 발을 삐끗할 때, 특히 외측 인대 손상이 많습니다.
  • 증상: 통증, 부기, 멍, 불안정감
  • 치료: RICE 요법(안정, 냉찜질, 압박, 거상), 물리치료, 심한 경우 수술

 

발목 골절

  • 원인: 낙상, 외부 충격, 스포츠 손상
  • 유형: 단순 골절부터 관절면 손상 동반까지 다양
  • 치료: 석고 고정, 수술, 재활 치료

 

발목 관절염 (퇴행성 관절염)

  • 원인: 반복된 손상, 과도한 사용, 노화
  • 증상: 만성 통증, 뻣뻣함, 운동 제한
  • 치료: 약물, 물리치료, 주사치료, 심하면 인공관절 수술

 

아킬레스건염 / 파열

  • 아킬레스건염: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힘줄에 염증 발생
  • 아킬레스건 파열: 갑작스러운 힘에 의해 힘줄이 끊어짐
  • 치료: 휴식, 스트레칭, 약물, 물리치료, 필요시 수술

 

발목 충돌 증후군(Ankle impingement)

  • 발목 앞 또는 뒤쪽이 반복적인 압박으로 통증 유발
  • 뼈조각, 흉터 조직, 인대 두꺼워짐이 원인

 

발목 불안정증

  • 반복적인 염좌 후 인대가 늘어나거나 약해져 관절이 느슨해짐
  • 운동 중 쉽게 삐거나 미끄러지는 느낌

 

발목관절 질환의 진단

  • 이학적 검사: 관절 가동범위, 압통 부위, 인대 안정성 검사
  • X-ray: 뼈 상태 확인, 골절 여부
  • MRI: 연부조직, 인대, 연골 손상 확인
  • CT: 복합 골절 또는 관절면 손상 확인
  • 초음파: 힘줄, 인대 실시간 평가 가능

 

발목관절 질환의 치료 방법

 

 

보존적 치료

  • RICE 요법: 염좌나 경미한 부상 시
  • 약물치료: 진통제, 소염제
  • 물리치료: 운동 범위 회복, 근력 강화
  • 보조기 착용: 안정성 유지, 회복 촉진

 

주사치료

  • 스테로이드 주사: 염증 완화
  • 히알루론산 주사: 관절 윤활
  • 프롤로테라피, 체외충격파 등: 재생치료 목적

 

수술적 치료

  • 인대 봉합 및 재건술: 만성 불안정증
  • 관절경 수술: 충돌 증후군, 연골 손상 치료
  • 골절 수술: 나사, 금속판 고정
  • 발목 인공관절 또는 관절 고정술: 말기 관절염

 

발목관절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

정상 체중 유지
→ 과체중은 발목에 과도한 부담을 줍니다.

 

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
→ 근력 강화와 유연성 확보로 부상 예방

 

발에 맞는 신발 착용
→ 쿠션감, 지지력이 있는 신발 선택

 

고르지 않은 지면에서 조심
→ 등산, 운동 시 특히 주의

 

운동 전후 충분한 준비 운동
→ 인대와 근육의 탄력성을 높입니다.

 

재활과 회복

부상 이후에는 단순히 통증이 사라졌다고 끝이 아닙니다.

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운동이 필수이며, 다음을 포함합니다.

 

 

  • 발목 근력 강화 운동
  • 고유 감각 향상 운동(균형 잡기, 밸런스 보드 등)
  • 관절 유연성 회복 운동


발목관절은 우리 몸의 균형과 움직임을 담당하는 핵심 구조입니다. 작고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, 이 관절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걷는 것조차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. 작은 부상도 방치하면 만성 통증이나 불안정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, 초기 치료와 예방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. 발목이 자주 아프거나 삐끗하는 분들이라면, 정확한 진단과 함께 생활습관의 개선, 근력 강화 운동 등을 병행해 발목 건강을 지켜보세요.